Health & Nursing

당뇨와 투석 2

mat_today 2019. 12. 9. 12:34

 

 

 

- 혈액투석은 어떻게 환자에게 영향을 미치는가?

 혈액투석액의 화학적 조성은 정상 혈액과 호환이 되도록 만들어졌다. 포도당 농도는 모든 환자에게 200mg/dL이 최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당뇨가 있는 환자에서는 저혈당을 예방하고 고혈당을 완화할 수 있는 농도이다.

 

 - 인슐린이나 경구용 혈당강하제는 투석이 되는가?

 투석을 하지 않는 환자에거 인슐린은 가장 보편적인 혈당강하제이다. 인슐린과 경구용 혈당강하제는 투석으로 제거되지 않는다. 메트포민(metformin)과 글리브라이드(glyburide, Diabeta)는 예외이며 말기신장질환 환자에서는 금기이다.

 

 -투석 동안 저혈당은 어떻게 관리하는가?

 저혈당은 혈당농도 모니터링을 통해 확인되어야 한다. 저혈당의 증상과 증후는 저혈압과 혼돈될 수 있다. 투석치료에 적응하기 위해 환자의 스케줄을 바꾸는 것은 환자가 규칙적으로 먹거나 약물을 복용하는 것을 방해하여 저혈압을 나타낼 수도 있다. 어떤 환자들은 스낵이나 사과 쥬스가 필요하다. 그너라 소화를 위한 복강내로 혈액량의 이동은 저혈압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심한 저혈당은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정맥내 덱스트로스 주입이 필요하기도 하다.

 

 - 투석 동안 고혈당은 어떻게 관리하는가?

 고혈당이 혈당농도 모니터링을 통해 확인되었다면, 의사는 속효성 인슐린(Humalog, Novolog, or Apidra)을 처방하게 될 것이다. 적극적인 고혈당 치료는 개인의 임상상황을 기반으로 하고, 말기신장질환 환자에서 저혈당의 위험 때문에 권장하지 않는다. 고혈당과 관련된 이례적인 혈액 응고가 있을 경우에는 헤파린 증가가 필요하다.

 

- 당뇨를 가진 환자는 비당뇨환자에 비해 더 많은 혈관 문제를 가지는가?

 말초혈관 동맥경화로 인하여 혈관 가지의 석회화는 동정맥루로 사용되는 혈관의 양과 질을 떨어 뜨린다. 투석을 받는 당뇨환자에서 동정맥루로 인한 패혈증을 더 많이 경험하지는 않지만, 더 높은 입원율과 더 나쁜 예후를 나타낸다. 당뇨환자에서 동정맥혈관의 혈전증 발생률이 더 높다.

 

 - 혈액투석을 받는 당뇨환자는 식이를 어떻게 조절해야 하는가?

 당뇨환자는 포도당 대사의 실패로 인해 식이 조절이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환자들은 신부전과 혈액투석을 위한 식이 조절이 더 필요하다. 어떤 환자들은 신부전식이의 제한점을 들으면 먹을게 없다고 하기도 한다. 실제는 그렇지 않다. 환자들이 고칼륨혈증이나 골질환의 위험을 피하기 위해 식이를 조정해야 하지만, 투석에서는 영양실조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잘 먹어야 하는 것은 필수 사항이다. 혈액투석에서는 치료 중 1~2g/hr 정도의 아미노산을 손실하게 된다. 투석기와 혈액라인으로 혈액 손실 또한 단백 손실의 원인이 된다. 식이로서 단백질을 최소한 1.2g/kg/day로 섭취해야 한다. 체내에서 에너지 저장을 위해 단백질을 태우는 것을 막기 위해 35kcal/kg의 칼로리 섭취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단백질은 식이의 20%, 지방 30%, 탄수화물은 50%로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식이는 환자의 선호도에 맞게 짜여져야 한다. 식이의 목표는 영양적 요구를 충족하면서 즐거운 식사를 하는 것이다. 캔디, 케이크, 파이 등과 같이 정제된 탄수화물 음식도 전체 식이계획 속에 포함된다면 당뇨성 신부전 식이로 일부 포함시킬 수 있다. 고열량, 저영양 식이는 제한되어야 하나 금지되지는 않는다. 목표는 좋은 혈당 조절이다. 고혈당은 갈증을 증가시키므로 수분 조절은 힘들다.

 

 

 

출처

최신 혈액투석간호 - 저자 JUDITH Z. KALLENBACH | 메디컬사이언스 

 

 

 

 

https://coupa.ng/blVCdp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