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lth & Nursing

혈액투석 환자 영양관리

mat_today 2019. 12. 9. 13:48

 

 

- 혈액투석 환자에서 적절한 단백질량

 혈액투석 환자의 단백질 요구량은 단백질-열량 부족 환자를 위한 상한선인 1일 kg당 1.2 ± 0.2g로 일반인에서 보다 더 많은 양이다. 그 이유는 혈액투석으로 5~10g 정도의 아미노산이 소실되기 때문이다. 도한 최소한 단백질의 50%는 육류, 생선, 두부, 달걀, 우유, 치즈와 같은 생물가가 높은 단백질로 섭취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단백질은 필수아미노산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 칼로리

 일반적으로 칼로리 섭취는 1일 kg당 35kcal이지만 혈액투석 환자에서의 에너지 필요량은 정확히 제시되지 않았다. 스트레스가 있거나 영양부족일 경우 칼로리는 1일 1kg당 40~45kcal가 필요하며 비만환자는 25~30kcal가 적당하다.

 

- 칼륨(포타슘,K)

 대부분의 음식은 모두 칼륨을 포함하고 있고 어떤 특정 과일과 야채는 특히 아주 높은 칼륨의 공급원이 된다. 우리의 식이에서 약 2/3의 칼륨은 과일과 야채에서 제공된다. 소변량이 하루 1L 이하로 줄어들면 식이에서 칼륨을 조절하여야 한다. 대부분의 혈액투석 환자에서 칼륨의 섭취는 70mEq 또는 2,730mg 정도가 적절하다. 칼륨섭취는 환자의 체표면적과 투석액에 함유되어 있는 칼륨농도, 혈중 칼륨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무분별한 식이섭취외에도 심한 산증, 변비, 이화작용, 인슐린 부족, 베타 아드레날린 차단데나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억제제와 같은 약제의 사용 등은 고칼륨혈증을 유발하는 요인이다. 

 

- 나트륨(소듐, Na)

 혈액투석 환자는 약87Eq 또는 2000mg의 나트륨 섭취가 적절하며 혈압, 소변량, 부종 유무에 따라 그 섭취량을 조정할 수 있다. 만성콩팥병 환자에서 고혈압은 주로 용적과 관련되며 고혈압 환자에서 건체중은 지속적으로 재평가되어야 한다. 레닌에서 유래되는 고혈압은 일부의 투석 환자에서 보여지며 이 환자들에서는 나트륨과 수분절제보다 적절한 항고혈압약이 더 필요하다. 칼륨 크로라이드가 함유된 일부의 저나트륨 제품과 소금대체품에서 칼륨이 들어있을 수 있다는 것을 환자에게 주의를 주어야 한다. 

 

- 수분

 일반적으로 하루에 섭취할 수 있는 수분의 양은 1,000ml이거나 하루 소변량에 1,000ml를 더한 것이다. 과일이나 야채와 같은 음식물의 수분은 일반적으로 총 수분량에 포함시키지 않고 아이스바나 얼음과 같이 실온에서 액체로 되는 음식은 수분량에 포함시킨다. 고형 음식에서의 수분량은 약 500~800ml 정도이고 이는 불감성 수분손실과 같다. 따라서 일반적인 수분섭취량은 투석 간 수분증가와 상관관계가 있다. 투석과 투석 간의 허용 가능한 수분증가는 1.5kg이거나 몸무게의 3% 이내로 과도한 수분섭취는 고혈압과 좌심실 비대를 초래한다.

 

- 인과 칼슘

 적절한 단백섭취를 위해 섭취하는 음식에는 대부분 인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1일 인의 섭취는 800~1200mg로 제한하며 탄산칼슘이나 초산칼슘과 같은 인결합 제산제를 복용하여 인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이 함유된 제산제는 알루미늄 골질환의 위험이 있으므로 복용하지 않는다. 칼슘이 함유된 제산제는 음식에 함유된 인과 결합할 수 있도록 식사나 간식과 함께 복용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인이 높은 음식은 칼슘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식이를 통한 칼슘의 섭취는 바람직하지 않다. 1,25 디하이드록시콜레칼시페로이 구강이나 정맥으로 투여될 때 칼슘보충제는 필요하지 않다. 칼슘의 필요량은 인의 섭취, 비타민 D의 사용, 투석액에 포함되어있는 칼슘함유량,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등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다. 

 

- 비타민 보충

 투석을 받는 환자는 불충분한 영양섭취, 흡수장애, 약물과 영양소와의 상호작용, 비타민 대사의 변화, 투석으로의 손실 등으로 인해 일부 수용성 비타민이 부족할 수 있다. 미국 1일 권장량에서는 매일 800~1,000mg의 엽산과 10mg의 피리독신(B6), 비타민 B1, B2, B12, 비오틴, 판토테닉 산, 니아신이 필요하다고 권장하고 있다. 엽산, B6, B12는 아미노산 매개물인 호모시스틴과 관련하여 꾸준히 연구되고 있으며 만성콩팥병 환자에서 나타날 수 있는 호모시스틴의 증가는 심혈관 질환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연구에서는 고농도의 엽산이나 B6, B12는 호모시스틴의 농도를 보충효과나 적절한 용량은 아직 결정되지는 않았다. 비타민 C의 보충은 하루 60mg으로 제한하고 있다. 비타민 C의 대사산물인 수산염의 축적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용량의 비타민 C는 피해야 한다. 만성콩팥병 환자에서 비타민 A의 보충은 레티놀과 결합 단백의 신장 분해 감소로 인한 잠재적 독성 때문에 하지 않는다. 상품화된 비타민의 정기적 보충을 투석을 받는 만성콩팥병 환자에서 흔히 시행한다.

 

- 철분 부족의 평가

 철분 부족은 에리스포이에틴 치료를 받는 환자에서 철분이 조혈작용에 사용되므로 투석환자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소견이다. 에리스로포이에틴을 사용하기 전에는 많은 수혈로 인해 일반적으로 철과다증이 나타났었다. 혈청 페리틴 농도나 철분 포화도로 철분저장 상태를 평가하는 것은 에리스로포이에틴 치료지점에 포함되어야 한다.

 

- 투석 환자의 지방섭취

 혈액투석 환자에서 흔히 나타나는 지질이상은 고중성지방혈증에서 보여지는 혈중지질이상으로 고밀도 지단백(High-Density Lipoprotein, HDL) 콜레스테롤은 낮고 총 콜레스테롤은 정상이다. 일부 환자들은 혈중 콜레스테롤이 200mg/dl 이상으로 높아져 있는데 이런 환자에게는 저콜레스테롤, 저지방 식이가 적절하다.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19683&cid=51004&categoryId=51004

 

투석환자의 식이요법

투석을 받는 만성신부전 환자의 3분의 1은 영양실조를 경험한다고 합니다. 영양 실조는 면역력을 떨어뜨려 감염이 잘 되고, 상처가 잘 낫지 않게 합니다. [만성 투석 환자의 식이 요구량] 1. 개별적인 식이 처방의 필요성 환자마다 선호하는 식품, 비용, 동반된 질환, 그리고 식이 습관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환자를 위한 식이 처방은 개별화되어야 합니다. 투석을 시작할 때, 혹은 투석 식이에 대한 비순응의 경력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식이 순응도를 평가하여

terms.naver.com

출처

최신 혈액투석간호 - 저자 JUDITH Z. KALLENBACH | 메디컬사이언스 

 

 

 

 

 

https://coupa.ng/blVBXa

 

투데이넛 너트한줌 프리미엄 50개입

COUPANG

www.coup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