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ealth & Nursing

투석 중 혈압 저하의 예방

 

 

1. 기전

 혈액투석에 있어 최대의 트러블은 투석중 혈압저하이다. 크게 나누어 2가지 원인이 있다. 하나는 수분제거의 속도가 너무 빠른 것. 다른 하나는 dry weight가 너무 낮은 것이다. 추가적으로 원래 혈압이 떨어지기 쉬운 당뇨병, 심기능 저하 등도 원인이 된다.

 수분제거의 속도가 너무 빠른 것 때문인지, dry weight가 너무 낮은 것 때문인지는 혈압이 떨어지는 타이밍으로 어느 정도 판단할 수 있다. 수분제거 속도가 너무 빠른 때의 저혈압은 투석시작 전반에서 중간 정도에 일어나고, dry weight가  너무 낮아서 일어나는 저혈압은 후반부에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2. 투석 중 혈압저하의 예방

 - 투석 사이에 염분과 수분 섭취를 줄임으로써 체중증가를 낮게 억제하여, 투석 시의 필요 제수량을 적게 한다.

   투석을 거른 날수가 하루라면 체중의 3%, 이틀이라면 체중의 5%가 목표이다.

 - 투석시간을 늘여서 수분제거의 속도를 낮춘다.

 - 단계적 제수(전반에는 수분제거의 속도를 빠르게, 후반에는 느리게 한다)를 시행한다.

 - dry weight가 너무 낮은 것은 아닌지 검토한다.

 - 투석 전에 고혈압약의 투여를 중지한다.

 - 투석 중 식사섭취를 줄인다.

   (식사섭취에 의해 소화관에 혈류량이 늘면서 순환혈류랑이 감소하여, 혈압저하를 일으킨다.)

 - 알레르기를 일으키고 있지는 않은지 체크한다.

 

3. 혈압저하시의 대처

 - 하지 거상

 - 수분제거를 멈춘다.

 - 생리식염수의 주입

 

4. 지속적인 저혈압에 대한 대처

 - 10% NaCL의 지속주입(=고Na투석)

 - GLYCEOL의 지속주입

 - 리스믹의 투여

 - 도파민의 지속 투여

 - 노프에피네프린의 지속 투여

 - 투석액의 온도를 낮춘다.

 

 

출처

레지던트를 위한 혈액투석 첫걸음 - 저자 문천준명|역자 장재희|군자출판사 

 

 

 

https://coupa.ng/blVBXa

불러오는 중입니다...

 

'Health & Nurs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췌장암 (Pancreatic carcinoma)  (1) 2019.12.11
요실금 (Urinary incontinence) 종류와 관리  (0) 2019.12.10
혈액투석 환자 영양관리  (0) 2019.12.09
소아와 혈액투석  (0) 2019.12.09
당뇨와 투석 2  (0) 2019.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