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83761&cid=44416&categoryId=44416
- 소아에서 급성신장손상(Acute Kidney Injury, AKI)의 원인은 무엇인가?
소아에서 급성신장손상은 보통 패혈증 쇼크, 저혈압, 외과수술이나 사고로 인한 급성 혈액 손실, 위장관 염증으로 인한 심한 탈수 등으로 신장 관류저하의 결과로 나타난다. 병리적으로 급성 세뇨관 괴사가 일어난다. 급성 세뇨관 괴사는 신독성 약물인 아미노글리코사이드 항생제와 암포테리신 B에 의해 특히 잘 발생한다. 북미에서 가장 흔한 소아 급성신장손상의 원인은 용혈성 요독증후군이다. 연쇄상구균 감염 후 사구체 신염은 소아에서 흔하나 투석이 필요할 정도로 심각한 급성신장손상을 유발하는 경우는 드물다.
- 소아의 만성콩팥병(CKD)의 원인은 무엇인가?
어린이의 만성콩팥병 원인은 성인과 다르다. 원인의 약 2/3가 다음과 같은 선천적 요로 기형이다. 후부 요도 판막증, 폐쇄요로병증, 역류성요로병증, 콩팥형성이상, 척추이분증에 의한 신경성 방광, 시스틴증, 옥살산뇨증, 상염색체열성 다낭성 신장질환을 포함한 유전병 등이 선천적 요로 기형의 흔한 예이다. 그 외 원인 중 1/3은 국소절 사구체경화증 또는 막증식성 사구체 신염 등이다. 어른과 달리 당뇨병성 콩팥병, 만성 고혈압, 막성 사구체 신염, 보통상염색체 우성 다낭성 신질환과 같은 질환들은 어린이와 청소년에서는 만성콩팥병의 원인이 되는 경우는 드물다.
- 지속적인 신대체요법이 요구되는 소아환자의 혈액투석 시기는 언제인가?
대부분의 소아환자의 말기신장질환(End-Stage Renal Disease, ESRD) 치료법은 신장이식이다. 급성 투석이 필요하다면 가정 복막투석이 선택되지만 이러한 방법이 항상 가능한 것만은 아니다. 가족 상황에 따라 불가능할 수도 있다. 어떤 환자들은 이전의 복막수술이나 복막염으로 복막기능이 상실된 경우도 있다. 말성콩팥병 영유아 환자에서 너무 어린 소아의 경우 지속적 혈액투석이 요구된다.
- 소아의 혈관접근 고려사항은 무엇인가?
환자가 어릴수록 혈액투석을 위한 적절한 혈관접근로를 확보하기 어렵다. 10kg 이하의 환자의 경우 적정 직경의 반영구 카테터(indwelling catheter)를 주요 혈관에 위치시키는 것이 유일한 선택일 것이다. 카테터가 혈관 사이즈보다 크지 않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유일한 선택일 것이다. 카테터가 혈관 사이즈보다 크지 않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정상적인 정맥 흐름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중과 단일 내경 커프 카테터(double and single-lumen cuffed catheter)가 체중이 5~10kg 정도인 매우 작은 소아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외과의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10kg 이상의 환자에서 허벅지의 루프형 동정맥루 인조혈관 수술이 가능해졌다. 15kg 이상의 환자에게는 전완에 동정맥루 수술이 가능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20kg 이하의 환자에서는 사지에 영구적 혈관접근로 확보가 어렵다. 그래서 이러한 시술 경험이 있는 외과 의사나 소아 신장 전문의에 의해서 시행된다.
출처
최신 혈액투석간호 - 저자 JUDITH Z. KALLENBACH | 메디컬사이언스
'Health & Nurs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석 중 혈압 저하의 예방 (1) | 2019.12.10 |
---|---|
혈액투석 환자 영양관리 (0) | 2019.12.09 |
당뇨와 투석 2 (0) | 2019.12.09 |
당뇨와 투석 1 (1) | 2019.12.09 |
혈액투석 (0) | 2019.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