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림프계란?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여러 세포들이 모여 있는 기관으로 특수하게 분화한 결합조직과
림프구들로 구성
-조직약이 유출되어 모아진 림프가 순환계로 유입되는 통로
*림프란?
-정맥의 보조 순환을 담당, 제2의 순환계
-주요성분: 물(하루 2~4리터 형성)
-성분은 소량의 알부민, 글로블린, 당, 무기염류 등 조직액이 여과된 투명하고 엷은
누르스름한 색을 띤 액
-위치한 조직에 따라 미네랄, 지방, 단백질의 농도가 다름
-림프부종: 림프관이 손상되거나 막혀 단백질이 풍부한 림프액이 피부나 피하조직에 축적 되어 팔다리가 붓는 현상
2. 림프계의 기능
-체내 수분 균형 유지, 체액의 순환을 도움
-소화관으로부터 지방과 다른 물질의 흡수경로가 됨
-세균이나 다른 이물질이 있으면 림프구와 형질세포는 이물질을 파괴하는 항체를 생산해
면역 반응에 참여-인체 방어 역할
-장에서 흡수된 지방성분의 운반기능
3. 특징
-림프는 체액의 균형을 유지하며 조직에서 세균을 없앰.
-림프 통로와 림프관을 거쳐 혈액순환계로 들어감
-림프기관(비장, 흉선)과 림프절을 거치면서 여과됨
-림프관의 압력은 혈관벽보다 낮으며 혈액보다 더 천천히 흐름
- 림프는 근육의 수축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고 림프판막이 있어 역류를 방지함
4. 림프의 순환
-동맥을 통해 신체의 각 장기로 들어감
-장기로 들어간 혈액은 조직의 세포 사이로
들어가 조직의 대사물과 혼합되어 조직액 형성
-조직액은 다시 모세혈관에 흡수, 정맥으로
들어가고 일부는 림프관에 의해 운반
-림프관은 결합조직 속의 모세림프관에서
시작해 많은 가지가 모여서 굵은 림프관이
되며 다시 이것들이 모여
굵은 줄기를 형성한 후 대정맥에 주입
5. 림프의 구성
-림프구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어떤 기능의 림프구를 만드는지에 따라 중추와 말초
림프기관으로 나뉨
-액체성분인 림프, 림프를 수송하는 림프관, 림프관사이사이에 분포하고 있는 조직 덩어리 림프절, 림프조직의 집단 편도, 비장, 흉선 등
-림프절에는 림프구와 백혈구가 함유되어 세균을 방어하고 면역체계를 만듦
-림프절은 600~700개 정도가 있으며 쇄골부위에 1/3이 존재
(1) 림프절
① 각 림프절은 림프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림프절에서는 림프관을 타고 림프절로 들어온 외부 항체 등에 대한 탐식작용 및 항원제시, 항체생성 림프구의 증식 등 일련의 면역반응이 일어난다.
② 위치
전신에 분포하나 겨드랑이, 사타구니, 목구멍(인후) 등의 신체 부위에 림프절이 많이 모여 있다.
③ 형태/구조
크기가 수 mm에서 1cm 내지 2cm 정도인 조그만 공 모양의 면역기관이다. 섬유성분의 피막에 둘러싸여 있으며 내부의 피막은 안쪽으로 함입되어 잔기둥을 형성한다. 림프절의 실질은 내부의 속질(수질)과 바깥쪽의 겉질(피질)로 구성되어 있다. 림프관을 타고 림프절로 들어온 림프액은 처음에 겉질 부위의 피막밑굴(피막하동)을 거쳐 속질 부위의 속질굴(수질동)을 거쳐 림프절을 빠져나가게 된다. 겉질의 바깥쪽에는 주로 B림프구가 모여 있어 외부 항원을 탐지하는 종자중심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겉질의 안쪽에는 T림프구가 주로 모여있는 소포들이 분포되어 있다.
④ 기능
림프절은 감염 등으로 인체 내에 들어온 병원체를 인식하여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데 관여한다. 외부항원을 인식한 B림프구는 림프절 겉질의 종자중심에 모여 증식하여 외부항원에 대항할 항체를 생성하고 이러한 림프구의 증식으로 인해 림프절이 커지게 된다. 감기에 걸렸을 때 편도가 붓는 것은 호흡기 바이러스가 목구멍을 통해 몸에 들어오고 이에 대응하여 목구멍 부근에 존재하는 림프절의 일종인 편도 내에서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생성하는 B림프구를 포함한 백혈구가 증식하기 때문이다.
⑤ 관련 질병
악성림프종, 호지킨 림프종, 비호지킨 림프종, 급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감염증, 악성종양 등
(2) 림프소절
주로 소화관, 기도, 비뇨생식기의 점막 및 편도에 존재한다. 특히 소장의 회장의 점막에 있는 집합림프소절은 림프 내에 있는 이물질을 대식세포들에 의해 포식하여 제거함으로써 소장벽의 파괴를 방어할 수 있다.
(3) 비장
① 지라(비장)은 가장 중요한 림프기관으로서 전신의 림프기관 중량의 약 25%를 차지한다. 감염이나 염증에 반응하여 비장이 커질 수 있는데, 촉진에서는 비장을 만질 수 없으나 영상학적으로는 감지되는 정도까지 커질 수 있다. 커진 비장은 급성 염증기 반응 물질들과 같이 특이하지 않은 소견으로 간주된다.
② 지라의 중요한 기능은 면역 세포의 기능을 돕는 옵소닌과 결합된 세균이나 항체로 둘러싸인 세포들과 같은 입자(particles)들을 혈류로부터 제거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은 비장을 절제한 환자들이 세균성 패혈증에 걸리기 쉽다는 점에서 뚜렷하게 나타난다. 또한 이러한 제거 기능은 자가면역성 혈소판감소증이나 용혈성 빈혈 환자에서 항체로 둘러싸인 혈소판이나 적혈구가 비장에 축적되어 파괴되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비장은 또한 수명이 다한 적혈구 또는 형태 변환이 잘 되지 않는 적혈구를 제거함으로써 적혈구의 질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③ 위치
가로막 아래 복부의 왼쪽 윗부분에 위치한다.
④ 형태/구조
지라의 무게는 평균 150g 정도이며 초음파 상에서 길이 13cm 미만, 두께 5cm 미만이면 정상적인 크기라고 여겨진다. 9번에서 11번째 갈비뼈 사이에 위치하며 위, 대장, 왼쪽 신장과 이웃하며 혈관이 드나드는 지라 문 부위는 이자의 꼬리 부분과 닿아있다. 껍질, 적색 속질, 백색 속질, 동맥과 정맥의 구조를 갖는다.
⑤ 기능
지라는 우리 몸을 침범하는 세균이나 외부 단백질을 제거하는 면역 기능을 담당하며 노화된 적혈구, 혈소판을 포함하는 여러 혈액 세포들 및 면역글로불린이 결합된 세포들을 제거한다. 또한 적혈구와 림프구를 만들고 저장하였다가 필요할 때 내보내는 저장고 역할을 한다. 단핵 세포의 절반을 저장함으로써 우리 몸에서 상처를 입는 부위가 발생하면 상처 부위로 단핵 세포가 이동하여 상처의 치유를 돕도록 한다.
⑥ 관련 질병
비장기능항진증, 비장기능저하증, 무비증, 비장증, 비장 농양, 비경색증, 석회 침착증, 낭종 및 가성 낭종, 비장 파열
(4) 흉선
① 가슴뼈의 뒤, 심장과 대동맥으로 이루어진 종격동의 앞에 위치한 림프 면역 기관이다. 신생아 때부터 발육하여 사춘기에 가장 커졌다가, 그 뒤에는 점점 크기가 작아져 성인에서는 상당 부분 지방으로 대체된다.
② 위치
가슴뼈의 뒤, 심장과 대동맥의 앞에 위치한다.
③ 형태/구조
가슴샘은 겉질과 속질로 나뉘며 이들은 겉껍질에 둘러싸여 있다. 조직학적으로는 그물세포(세망세포)와 그물섬유(세망섬유)로 구성된다. 겉질에는 림프구, 호중구, 호산구, 호염기구 등의 혈구 세포가 풍부하게 존재한다. 수질에는 림프구가 적고 그물구조(세망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소아에서는 삼각형의 돛단배 모양으로 생겼다가 사춘기를 지나 점점 크기가 작아지며, 성인에서는 대부분 지방세포로 대체된다. 소아에서는 삼각형의 돛단배 모양으로 생겼으며 좌엽과 우엽으로 구성되는데 좌우의 모양이 같지 않다.
④ 기능
골수에서 만들어진 림프구의 전구 세포인 흉선세포가 흉선에서 성숙과정을 거쳐 성숙한 T림프구로 발달한다. 흉선세포 중 자기 몸에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세포는 흉선에서 사멸하고 외부 물질에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세포는 성숙하는 과정을 거친다.
⑤ 관련 질병
면역결핍, 디조지증후군, 중증 근무력증, 흉선종, 림프종 등
(5) 편도
① 목의 안쪽과 코의 뒷부분에는 우리 몸의 바깥으로부터 침입할 수 있는 세균 등의 물질로부터 일차적으로 우리 몸을 방어하는 조직들이 있다. 이중에 크기가 큰 조직으로 대표적인 것이 편도이다. 편도조직에는 인두편도, 귀인두관편도, 구개편도, 혀편도 등이 있다. 대개 입을 벌렸을 때 잘 보이는 편도는 구개편도이고, 인두편도(아데노이드) 및 귀인두관편도는 코와 목구멍 사이에 있고, 혀편도는 혀의 뿌리에 있어 직접 관찰하기 힘들다.
편도는 대개 5세 전후까지 점점 커지다가 그 이후에는 작아진다.
② 하위기관
- 인두편도(아데노이드, adenoid, pharyngeal tonsil) : 인두의 천정부에 위치한다.
- 귀인두관편도(tubal tonsil) : 인두의 천정부에 위치한다.
- 목구멍편도(구개편도, palatine tonsil) : 구인두(oropharynx)의 양옆에 위치한다.
- 혀편도(설편도, lingual tonsil) : 혀의 뒤에 위치한다.
③ 기능
우리 몸에서 편도선이 하는 역할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면역계의 일부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편도선은 입과 코를 통해 들어와 병을 일으킬 수 있는 세균 등의 외부 물질을 방어하는 역할을 하며, 이런 세균침범은 흔히 편도 자체의 감염도 유발한다. 감기 등을 자주 앓는 경우에는 편도가 비정상적으로 커져서 침을 삼키기 어렵거나 숨쉬기 어려워지는 문제도 있다.
④ 관련 질병
급성 편도선염, 만성편도선염, 편도 및 아데노이드 비대증 등
<출처>
http://blog.naver.com/kobi5404
인체해부학-정담미디어
'Health & Nurs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 아토피성 피부염 간호 (0) | 2019.06.24 |
---|---|
신생아 황달 병태생리 및 간호 (2) | 2019.06.24 |
간경화 (0) | 2019.06.20 |
간염 (0) | 2019.06.20 |
욕창 (1) | 2019.06.20 |